Keywords
- 집계(Aggregation)
- Level of Detail
- 세부수준(Granularity)
집계(Aggregation)
나열된 숫자들을 한데 모아서 연산한다는 의미입니다.
예를들어,
Value = { 1, 1, 1, 2, 5 }
Value 필드를 태블로의 화면 안에 올리면 그 값 1, 1, 1, 2, 5를 그대로 보여주지 않습니다
정리하면, 태블로는 Raw Data의 값을 그대로 반환하지 않습니다. 태블로는 집계값을 보여줍니다.
Value를 평균으로 집계하면 2,
최대값으로 집계하면 5,
최솟값으로 집계하면 1,
중위수로 집계하면 1,
이런식으로 다양하게 집계할 수 있습니다
세부수준(granularity) & Level of Detail
무를 써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, ①에서 ④로 갈수록 aggregation의 정도는 낮아지고, detail의 정도는 높아지고 있는 것이죠
태블로에 올린 데이터도 위의 무와 크게 다를 바 없습니다
수익(Profit)을 제품 대분류(Category)로 보면, 꽤 높은 수준에서 집계되어 있습니다.
Aggretation의 정도는 높고, Detail의 정도는 낮은 것이죠
(물론, 상대적인 개념입니다)
이 테이블은 어떤가요?
수익을 제품 대분류로 나누고,
제품 중분류로 한 번 더 분기했더니,
수익이 조금 더 잘게 썰려있는게 확인됩니다
마치 위의 무 예시에서
①이 ② 또는 ③으로 변하는 것처럼 말이죠
결국 LOD는 데이터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지에 대한 문제입니다
Aggregation 레벨이 지나치게 높다면 구체적인 내용들이 잘 안보일 것이고,
Detail 레벨이 필요 이상으로 높다면 너무 시시콜콜한 것까지 보이니까 데이터의 핵심을 흐릴 수도 있겠죠
이 글은 https://vizlab.tistory.com/37 님의 블로그에서 출처한 글입니다.
'Tableau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ableau Terminology 101: The Tableau Workspace (0) | 2022.01.08 |
---|---|
[Tableau] Tableau 기본 기능 101 (0) | 2022.01.08 |
[Tableau] 상황별 그래프 참고자료 (0) | 2022.01.07 |
[Tableau] 대시보드 정렬하기 팁 (0) | 2021.12.06 |
[Tableau] 데이터 연결방법_관계/조인/블랜딩 (0) | 2021.12.06 |